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프린트
- 아두이노 구조
- reference
- 아두이노 IDE
- 아두이노 문법
- 아두이노
- Arduino
- 엔더
- 3D프린트
- ender3
- 3D프린터
- Arduino Reference
- 3D 프린터
- 3D 프린트
- 3d print
- 3dprinter
- 프린터
- 아두이노 소프트웨어
- ENDER-3
- 아두이노 레퍼런스
- ender 3
- printer
- 필라멘트
- PLA
- 3d
- 엔더3
- 3d printer
- 3DPrint
- Arduino IDE
- Today
- Total
목록프로젝트/밸런싱 로봇 (5)
키위백과의 잡동사니

STM32CubeIDE 설치를 마쳤다면, 이제 처음 실행했을 때 나타나는 설정 화면들을 간단히 정리해볼게요. 이 과정을 완료하면 프로젝트를 바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1. STM32CubeIDE 실행설치 후 바탕화면이나 시작 메뉴에서 STM32CubeIDE 아이콘을 클릭해 실행합니다.2. 워크스페이스 설정STM32CubeIDE는 프로젝트 설정과 데이터를 저장할 위치(워크스페이스)를 지정해야 합니다.기본 위치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다른 경로를 지정한 후 Launch 버튼을 클릭하세요. ※ 워크스페이스 폴더 선정 기준본인이 관리하기 쉬운 경로예: C:\STM32Workspace 또는 D:\STM32\workspace너무 깊거나 복잡한 경로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한글, 공백, 특수문자 없는 경로일부 개발 도..

이전 글에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방법을 소개했었죠. 이번에는 다운로드한 STM32CubeIDE를 실제로 설치하는 과정을 하나씩 정리해보았습니다. 처음 설치하시는 분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설명드릴게요. 설치 진행 단계1. 압축 해제다운로드 받은 .zip.exe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면 .exe 실행파일이 나타납니다.2. 실행 파일 더블 클릭압축 해제된 설치 파일을 실행하세요.3. 설치 첫 화면Next를 클릭하여 설치를 시작합니다.4. 라이선스 동의라이선스 내용을 확인한 뒤, I Agree를 클릭합니다.5. 설치 경로 설정설치 위치는 기본 경로로 두거나, 원하는 폴더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6. 설치할 드라이버 선택기본적으로 두 가지 드라이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ST-LINK 드라이버: ✅ ..

NUCLEO 보드를 사용하기 위해 필수 개발 환경인 STM32CubeIDE 설치 과정을 정리했습니다. 설치 파일은 STMicroelectronics 공식 사이트에서 제공되며, 회원 가입 없이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다운로드 링크: https://www.st.com/en/development-tools/stm32cubeide.html1. 운영 체제에 맞는 버전 선택사이트에 접속한 후 본인의 운영체제에 맞는 항목에서 Get latest 버튼을 클릭하세요.Windows: STM32CubeIDE-WinmacOS: STM32CubeIDE-MacLinux: STM32CubeIDE-Lnx, -DEB, -RPM2. 라이선스 동의설치 조건에 대한 License Agreement가 나타납니다.하단의 Accept 버튼을 ..

이번에 진행할 "밸런싱 로봇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일정을 한 달간 체계적으로 세워보았습니다. 간단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1주차: 프로젝트 기획 및 설계NUCLEO-F446RE 보드 학습 및 설정기구 설계 (로봇 프레임 및 바퀴)2주차: 부품 조립 및 기본 회로 구성노란색 바퀴 포함 기어드 DC 모터 장착L298N 모터 드라이버 회로 구성 및 테스트3주차: PID 제어 구현 및 자이로 센서 연동소프트웨어 PID 알고리즘 개발자이로 센서 데이터 활용하여 균형 잡기4주차: 최종 테스트 및 보완종합 테스트를 통한 성능 확인오류 수정 및 성능 최적화각 주차마다 상세한 내용을 기록하고, 과정 중 발생하는 시행착오와 해결 방법까지 함께 다룰 예정입니다.곧 첫 진행 상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그동안 현생을 살아가느라 블로그에 글을 올리지 못했는데, 이번에 여유가 생겨 새로운 보드도 공부할 겸 흥미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바로 "밸런싱 로봇 프로젝트"입니다. 밸런싱 로봇은 두 바퀴로 서서 스스로 균형을 잡는 로봇으로,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기술입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PID 제어, 자이로 센서 활용, 기구 설계는 물론이고, 새롭게 접하게 될 보드에 대해서도 깊이 있게 기록해 나갈 예정입니다. 특히 시중의 키트를 사용하지 않고 처음부터 끝까지 직접 설계하고 제작하는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프로젝트 진행 과정과 함께 경험하게 될 시행착오, 그리고 이를 극복하는 과정들을 세세히 기록으로 남기고자 합니다. 곧 첫 업데이트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