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위백과의 잡동사니

눈, 귀, 피부처럼! 센서로 느끼는 전자기기 본문

전자/센서

눈, 귀, 피부처럼! 센서로 느끼는 전자기기

KiwiPedia 2025. 7. 14. 14:06

"센서"는 전자기기의 감각 기관이라고 할 수 있어요.

마치 사람의 눈, 코, 귀, 피부처럼, 기계가 주변 환경을 느끼고 반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죠.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기기 속에도 다양한 센서가 숨어 있어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어요.

  • 스마트폰: 화면을 돌리면 방향이 바뀌고, 얼굴을 가까이 대면 화면이 꺼지죠? 이는 근접 센서 덕분이에요.
  • 자동문: 사람이 다가오면 열리는 이유는 동작 감지 센서가 우리를 감지하기 때문이에요.
  • 에어컨/히터: 온도 센서가 실내 온도를 감지해서 자동으로 작동하죠.
  • TV 리모컨: 리모컨에서 나오는 빛을 TV의 센서가 인식해서 채널을 바꾸는 거예요.

이처럼 센서는 우리 생활을 더욱 편리하고 똑똑하게 만들어주는 존재랍니다.

센서의 종류도 사람의 감각처럼 다양해요. 각각 어떤 일을 하는지 볼까요?

빛 센서 (광 센서)

  • 하는 일: 주변의 밝기를 감지해요.
  • 예시: 가로등, 스마트폰 밝기 조절
  • 역할: 어두워지면 불을 켜고, 밝으면 화면을 더 밝게 조절해요.

온도 센서

  • 하는 일: 현재 온도를 측정해요.
  • 예시: 에어컨, 냉장고, 디지털 체온계
  • 역할: 실내 온도를 조절하거나 음식, 사람의 체온을 측정해요.

움직임 센서 (모션 센서)

  • 하는 일: 물체나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해요.
  • 예시: 자동문, 자동 조명, 게임기 컨트롤러
  • 역할: 사람이 다가오면 문을 열고, 움직임이 없으면 불을 꺼줘요.

소리 센서 (음향 센서)

  • 하는 일: 소리를 감지하고 반응해요.
  • 예시: 인공지능 스피커, 스마트폰, 마이크
  • 역할: 음성 명령을 듣고 반응하거나, 소리를 인식해 증폭해요.

근접 센서

  • 하는 일: 물체가 얼마나 가까이 있는지 측정해요.
  • 예시: 스마트폰 통화 화면, 자동차 후방 센서
  • 역할: 얼굴이 가까워지면 화면을 꺼주고, 자동차가 장애물에 가까워지면 경고해요.
 

이 외에도 냄새를 맡는 센서, 맛을 감지하는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이 계속 개발되고 있어요. 센서는 기술을 더 인간답게 만드는 핵심 도구랍니다!

'전자 > 센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음파 거리 센서(Ultrasonic Distance Sensor)  (0) 2018.04.03
Comments